수도권 철근·콘크리트 업계가 오는 11일부터 공사현장 26곳에서 파업에 참여한다. 최초 예고한 60곳 중 34곳은 공사비 증액을 약속하는 등 협상이 이뤄져 공사중단 위기는 벗어났다.
11일 철근·콘크리트연합회(철콘연합)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지부는 공사비 협상에 비협조적인 총 18개 시공사 중 26곳의 공사현장을 상대로 이날부터 파업에 들어간다.
지난 7일 기준 연합회 소속 회원사는 95개, 원청인 시공사수는 91개, 현장은 총 733곳이다. 셧다운 대상으로 포함된 18개 시공사에는 △GS건설(2곳) △삼성물산(2곳) △금호건설(1곳) 등 대형 시공사들이 포함돼 있다.
대형사의 시공 현장으로는 삼성물산에서 시공하는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 주택재건축정비사업 3공구)', GS건설에서 시공하는 '판교밸리자이' 현장, 금호건설이 시공하는 '양주회천 아파트신축' 현장 등이다.
철콘연합이 최초로 파업을 예고했던 60곳 중 34곳의 현장은 협상을 통해 셧다운 위기를 면했다. 가장 많은 곳에서 파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고된 대우건설(11곳)의 현장은 정상적으로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김학노 철근콘크리트 서·경·인 사용자연합회장은 "원 청사에 지난해 11월부터 공사비 증액 요구를 수차례 요구한 바 있으나 지난 7일까지 공사비 증액에 비협조적인 시공사에 대해 현장 셧다운 결정을 했다"고 파업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김 연합회장은 "34곳의 현장은 협상을 통해 셧다운을 철회했지만 대부분 공사비 증액을 구두로 약속한 상황"이라며 "향후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하반기는 지금보다 더 많은 현장이 파업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A건설사 관계자는 "(셧다운은 막지 못해) 공사에 부분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아예 손놓고 있지는 않고 협의를 계속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B건설사 관계자는 "당장에는 큰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화물연대처럼) 이번 파업도 장기화되면 문제가 될 것"이라며 "예의주시하면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국 철근·콘크리트업계는 지난 3월 전국 건설현장을 멈춰 세웠다. 지난 4월에는 호남·제주지역 업체들이 맡고 있던 전 현장의 공사를 중단했고, 지난달 6~7일에는 부산·울산·경남지역 철근콘크리트 하도급 업체들이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며 셧다운을 진행하기도 했다.
건설업계는 지난달 화물연대 파업으로 원자재 수급에 차질이 생겨 공사중단 위기에 처했다. 이달 초에도 레미콘 파업으로 인해 공사중단 위기를 겪었다. 화물과 레미콘에 이어 철근·콘크리트 업계도 파업을 예고하면서 잇따른 공사 차질이 예상된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 진짜 됐어” 생방송 중 20억 스피또2000 즉석복권 당첨된 스트리머 (1) | 2022.07.14 |
---|---|
2022부산모터쇼-아이오닉6, 세계 최초 공개, 이 가격 실화야?…테슬라 '반값' (1) | 2022.07.14 |
빅스텝 밟았다, 기준금리 1.75→2.25%…3연속 인상 처음 (0) | 2022.07.13 |
"바닥 쳤다" 긍정론…비트코인 한주 13% 상승, 9개월새 최고 (0) | 2022.07.10 |
은행 여전히 이자장사...주담대 낮추고 신용대출은 올려 (1) | 2022.07.10 |
댓글